Surprise Me!

[앵커리포트] 이재용, 세습경영 포기 선언...삼성 경영권은 어떻게 바뀔까? / YTN

2020-05-07 13 Dailymotion

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발언이 정말로 실현될 경우 삼성은 창립 82년 만에 故 이병철 창업 회장, 이건희 회장, 이재용 부회장으로 이어지던 가족 경영 체제의 막을 내리게 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으면서 실질적인 변화가 있을지, 여러 추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유력한 방안은 전문 경영인 체제를 선택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소유와 경영이 분리되는 거죠. <br /> <br />미국이나 유럽 기업인 포드, GM 또 스웨덴 발렌베리그룹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의 경영방식에는 이건희 회장도, 이재용 부회장도 관심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이재용 부회장은 방한한 마르쿠스 발렌베리 스톡홀름엔스킬다은행(SEB) 회장과 단독으로 만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발렌베리 가문은 금융, 건설, 항공, 가전, 통신 등 100개 넘는 기업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통신장비 회사 에릭슨, 가전제품 회사 일렉트로룩스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발렌베리 지주회사인 인베스터가 그룹을 지배하게 하고, 이 지주회사는 가문이 세운 재단이 소유합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자회사들의 경영 수익이 배당되고, 다시 사회에 환원되는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가족 경영을 기반으로 하지만 계열사 경영을 능력 있는 전문 경영인에게 일임합니다. <br /> <br />독립경영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구조인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직 50대에 불과한 이 부회장 이후를 거론하기엔 아직 이른 감이 적지 않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현대, LG, 롯데, 두산같이 내로라하는 우리나라 대기업은 대체로 가족 경영으로 운영됩니다 <br /> <br />특히 창업주의 장자가 경영권을 승계하고 나면 장자가 아닌 또 다른 자식들이 일정한 몫을 떼어 계열분리를 하는 이른바 형제 경영의 형태가 많고요. <br /> <br />또 사촌 경영의 형태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재용 부회장은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기로 했지만, 남매인 이부진 호텔신라 회장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과도 논의된 건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재용 부회장에 이어, 남매인 이 두 사람이 경영권을 갖는다면 사실상 어제 발언은 큰 의미가 없어집니다. <br /> <br />앞서 말씀드린 것처럼, 가족 경영이 주를 이루는 국내 다른 대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의 앞날이 주목되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50717215263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